[Silver III] 수강신청 - 13414
분류
자료 구조, 해시를 사용한 집합과 맵, 구현
문제 설명
국민대학교에서는 매 학기 시작 전 종합정보시스템에서 수강신청을 한다. 매 수강신청마다 아주 많은 학생들이 몰려 서버에 많은 부하가 가기 때문에, 국민대학교에서는 수강신청 부하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결정하였다. 새로운 관리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.
- 수강신청 버튼이 활성화 된 후, 수강신청 버튼을 조금이라도 빨리 누른 학생이 대기목록에 먼저 들어간다.
- 이미 대기열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 다시 수강신청 버튼을 누를 경우 대기목록의 맨 뒤로 밀려난다.
- 잠시 후 수강신청 버튼이 비활성화 되면, 대기목록에서 가장 앞에 있는 학생부터 자동으로 수강신청이 완료되며, 수강 가능 인원이 꽉 찰 경우 나머지 대기목록은 무시하고 수강신청을 종료한다.
위의 표는 최대 수강 가능 인원이 3명인 알고리즘 수업에 대해 6명의 학생이 수강신청을 진행한 모습이다. 버튼이 비활성화 된 후, 먼저 규칙 1을 적용하여 클릭을 2번 이상 한 학생의 중복된 대기목록을 삭제한다. 중복된 목록을 제거한 후, 맨 앞에서부터 최대 수강 가능 인원인 3명을 선정한다. 표의 맨 오른쪽에는 그 최종결과를 나타낸 모습이다.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수강신청에 성공한 인원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입력
입력 데이터는 표준 입력을 사용한다. 입력은 1개의 테스트 데이터로 구성된다. 입력의 첫 번째 줄에는 과목의 수강 가능 인원 K(1 ≤ K ≤ 100,000)와 학생들이 버튼을 클릭한 순서를 기록한 대기목록의 길이 L(1 ≤ L ≤ 500,000)이 주어진다. 두 번째 줄부터 L개의 줄에는 수강신청을 버튼을 클릭한 학생의 학번이 클릭 순서대로 주어진다. 학번은 8자리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.
출력
출력은 표준 출력을 사용한다. 입력받은 데이터에 대해, 수강신청 관리 시스템의 규칙을 적용한 후 수강신청에 성공한 인원의 학번을 한 줄에 1개씩 출력한다.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K, L = map(int, input().split())
students = dict()
for i in range(L):
student = input().strip()
students[student] = i
students = sorted(students.items(), key=lambda x: x[1])
if K > len(students):
N = len(students)
else:
N = K
for j in range(N):
print(students[j][0])
'Algorithm > BAEKJO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 / Python 파이썬] 2852번 - NBA 농구 (0) | 2023.07.06 |
---|---|
[백준 / Python 파이썬] 2594번 - 놀이공원 (0) | 2023.07.06 |
[백준 / Python 파이썬] 15787번 - 기차가 어둠을 헤치고 은하수를 (0) | 2023.06.15 |
[백준 / Python 파이썬] 2641번 - 다각형그리기 (0) | 2023.06.15 |
[백준 / Python 파이썬] 16931번 - 겉넓이 구하기 (0) | 2023.06.13 |